뇌염모기 - 일본뇌염모기에 대해서 알아보아요.
오늘은 일본뇌염모기에 대해서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무더운 여름이 오고나니 덩달아 같이오는 모기들이 극성을 부리는 시기가 왔네요. 모기들에게 물리면 짜증나기도 하고 귀찮기도 하며 직장이나 가정에서는 신경쓰이기도 합니다. 이런 부분때문에 오늘은 예방법과 모기에 물렸을 때에 대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해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모기라하면 무시하다가 보이면 잡기 때문에 크게 신경쓰지 않고 살아갑니다. 그러나 과거 1960년대와 70년대에는 수백명의 사람들이 모기에 의해서 죽어가던 시절이 있었답니다. 이때문에 여름만 되면 뉴스에 단골이야기거리로 항상 나왔다고 하네요.
모기소식
2000년대에 들어서서 환자 발생이 한 해에 5명 정도로 크게 줄긴 했지만 그래도 무시할 정도는 아닌 것 같습니다. 2010년에는 26명의 환자들이 생겼으며 2015년에는 40명의 뇌염모기에 물린 뇌염환자가 발생했다고 해요. 그럼 예방을 하면 되는것 아닌가 하겠지만 대부분의 어른들은 면역력이 높아서 발병하지 않지만 12세정도 미만의 어린아이들에게는 쉽게 발병할 수도 있다고 하네요. 우선 일본뇌염모기의 바이러스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플라비바이러스라 불리는 일본 뇌염 바이러스는 모기가 돼지의 피를 빨고 난 후에 인간에게 접촉해 피를 빠는 사이 전염되어 일으킨다고 합니다.
모기케릭터
모든 모기들이 플라비바이러스를 전염시키는 것은 아니고 작은빨간집모기와 뇌염모기라고 불리는 모기들만 질병을 전염시키는데요. 우선 가장 모기들이 많을 것 같은 장소는 소, 돼지등의 축사나 외양간 시설을 갖춘 가축사육 시설이 근처에 있다면 뇌염 위험이 있다고 하니 근처에 주거하는 분들은 조심하면 되고요. 여기에 물가에 사는 새, 돼지, 말 등의 동물에게도 증식한 후 사람에게 옮겨질수 있다고 하니 이점도 주의하셔야겠어요. 특히 근처 벼농사를 하는 물가가 있다면 조금의 주의를 하셔야 할겁니다.
모기물렸을때
모기에 물렸을 때의 반응을 보면 중추신경계에 도달 후 심장, 폐, 간등에 염증 반응을 일으킨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대부분은 중추신경계에 도달하기 전에 면역력 때문에 제거 된다고 하니 면역력이 높은 사람들은 안심하셔도 될 것 같네요. 그러나 면역력이 약한 어린아니나 어른들은 증상이 발생하게 되는데요. 대략적으로 250명중 한명정도가 나타난다고 하며 뇌염으로 진행되는 경우는 30%정도라고 합니다. 일본뇌염에 증상이 나타난다해도 복잡한 치료같은 것은 없습니다. 질병관리본부에서는 호흡장애나 순환장애, 세균감염등에 대한 부분이므로 보존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하네요.
모기때문에
그럼 일본뇌염모기에 대한 예방법이 더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실 수 있는데요. 가장 쉬운 방법이 예방접종을 맞는것입니다. 모든 영유아들은 맞히는것을 권장하고요. 예방접종 후에 드물게 이상반응을 일으킬수 있다고 하니 전문가의 상담을 꼭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이외에 어릴 때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맞지않은 40대 이후의 사람들중에 점차 일본뇌염 증상이 발생하는 사람들이 있으니 이런 사람들에게도 예방접종 맞을것을 권유한다고 해요. 영유아들과 달리 어른들은 단 한번만 맞으면 된다고 하니 증상을 앓고 있거나 경험해본 사람이라면 꼭 예방접종 맞기를 바랍니다.
모기와아기
그럼 이외에 모기에 잘 물리는 타입들과 모기에 물렸을때에 대처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께요. 모기 물리고 나면 우선 붓고 가렵고 해서 신경쓰이게 만드는데요. 모기에 덜물리는 가장 쉬운 방법은 긴팔과 긴바지, 양말을 착용하는 것이 적게 물린다고 합니다 이 때 옷은 반드시 밝은 색을 입어야 태양열 흡수를 줄여 덜 물리는 효과를 볼수 있다고 하네요. 체온이 높은 사람이 체온이 낮은 사람에 비해서 모기에 물릴 확률이 높은데요. 체온을 낮게 유지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합니다. 그럼 운동하는 사람들은? 운동을 좋아하거나 운동을 해야하는 상황이 오면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면 된다고 해요.
모기에대한고민
이 때 중요한 것은 어린아이들이나 아기들에게는 모기 기피제 주의 사항을 꼭 읽어보시고 바르셨으면 좋겠고요. 가장 중요한 사항에 대해 말해드리면 손, 눈, 코, 입과 상처부위에는 절대 사용을 하지 말아야 한다고 합니다. 어린아이들의 경우에는 반드시 어른들이 직접 손에 덜어서 발라주어야 하며 생후 3개월정도 미만의 아기들에게는 절대 사용하지 말라고 하네요.
모기기피제주의
모기에 물렸을때 붓기나 가려움증을 완화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면 냉찜질과 온찜질로 가볍게 완화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쉽게 할 수 있는 방법들로 얼음팩이나 차가운 물건으로 피부에 간접적으로 대고 있으면 붓기를 감소하고 신경을 마비시켜 완화가 된다고 하며, 온찜질로는 물린 부위를 뜨거운 물에 담궜다가 숟가락등의 넓은 면을 가진것을 위주로 해서 물린 부위에 15초 정도만 되고있으면 염증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해요. 이외에 꿀이나 알로에 등으로 바르면 진정효과를 볼수 있고, 물린 부위를 심장보다 위로 향한 후 30분정도 대기하면 완화 시킬수 있다고 하네요.
모기통증
이외에 일본뇌염모기와 같이 심한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는데요. 근육통증이나 구토, 현기증, 두통, 호흡곤란, 심박수 증가, 섭취곤란등 이상증상이 나타난다면 꼭 의사와 상의해야 한다고 하니 병원 가셔서 진찰 받으셨으면 하네요. 이상 포스팅을 마치며 아래 아이뉴스를 통해 모기에 관련된 기사를 보시길 바랍니다. ^^
'LifeTip >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이 많은 우리 아버지 건강식 추천 (0) | 2019.04.12 |
---|---|
우울증 사춘기 조증 무엇이든지 외롭고 슬퍼요. (0) | 2018.10.15 |
우울증 극복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8.08.26 |
산후우울증때문에 고민하고 있는 분들을 위해 (0) | 2018.08.08 |
벌, 모기 물렸을 때 - 독소 제거제 [버그바이트] (0) | 2018.06.17 |